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4

프랑스어 문법 정복 18화 - 반과거(imparfait) 반과거 (l'imparfait) - 과거의 배경과 습관을 그리는 시제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프랑스어의 핵심 과거 시제 중 하나인 반과거(l'imparfai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학습자분들이 복합과거와 반과거를 헷갈려하시는데, 이 글을 통해 확실히 구분할 수 있게 될 거예요. 1. 반과거란 무엇인가?반과거(l'imparfait)는 말 그대로 "완전하지 않은 과거"라는 뜻으로,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던 상황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시제입니다. 반과거는 마치 과거의 한 장면을 사진으로 찍은 것처럼, 그 순간의 배경이나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할 때 사용해요. 한국어로는 '~하고 있었다', '~했었다', '~하곤 했다' 등으로 번역됩니다. 반과거의 주요 용법들1) 과거의 배.. 2025. 7. 31.
프랑스어 문법 정복 17화 - 복합과거(passé composé) 복합과거 (le passé composé) - 과거를 말하는 가장 기본적인 시제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말 중요한 시제를 다뤄볼 거예요. 바로 복합과거입니다! 프랑스어로 과거 이야기를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제가 바로 이 복합과거예요. 처음엔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규칙을 차근차근 익히면 금세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함께 천천히 알아가 봐요! 복합과거가 뭘까요?복합과거(le passé composé)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두 개의 요소가 '복합'되어 만들어지는 시제예요. 구성: 조동사(avoir 또는 être)의 현재형 + 과거분사 예를 들어볼게요,J'ai mangé (나는 먹었다) = J'ai (조동사) + mangé (과거분사)Elle est allée (그녀는 갔다) = .. 2025. 7. 28.
프랑스어 문법 정복 16화 - 부정형용사: aucun, nul, personne 부정형용사 aucun, nul, personne - 존재의 부정을 나타내는 프랑스어 표현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프랑스어 부정 표현의 세 번째 단계인 부정형용사(les adjectifs indéfinis négatif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Je n'ai aucun problème"라는 표현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바로 이런 표현들이 오늘 배울 부정형용사의 대표적인 예시랍니다. 부정형용사가 정확히 무엇인가요?부정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면서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형용사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어떤 ~도 아니다", "하나도 없다", "전혀 없다" 같은 의미를 만들어내죠. 일반적인 부정문이 단순히 동작을 부정한다면, 부정형용사는 그 대상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 2025. 7. 28.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 한국어 초청언어 선정, 28년 만의 공식 프로그램 참여 세계 최대 공연예술 축제, 아비뇽 페스티벌이 한국어를 초청언어로 선정2024년 7월 22일, 한국 공연예술계에 의미 있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프랑스의 아비뇽 페스티벌이 2026년 공식 초청언어로 한국어를 선정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번 소식의 의미와 배경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아비뇽 페스티벌, 어떤 축제인가요?70년 넘는 역사의 공연예술 축제아비뇽 페스티벌(Festival d'Avignon)은 매년 7월 프랑스 남부 아비뇽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공연예술 축제입니다. 1947년 장 빌라르에 의해 시작된 이 축제는 77년의 역사를 자랑하며, 전 세계 공연예술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어요. 축제가 열리는 아비뇽은 14세기 교황청이 있었던 곳으로, 교황청 궁전을 비롯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들이 공연 무.. 2025. 7. 27.
프랑스 교육제도 3편: 대학교육과 미래 전망 프랑스 교육제도 시리즈의 마지막 편에서는 그랑제콜과 함께 프랑스 고등교육의 양대 축을 이루는 대학 시스템, 그리고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프랑스 교육이 직면한 도전과 미래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전통과 혁신, 평등과 우수성, 국가적 정체성과 국제적 개방성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가는 프랑스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탐구해 보겠습니다. 프랑스 대학 시스템: 개방성과 다양성의 구현대학의 철학: 교육의 민주화프랑스 대학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방성'입니다. 바칼로레아만 있으면 누구나 원하는 대학에 입학할 수 있다는 원칙은 교육 기회의 평등을 실현하려는 프랑스 공화주의 이념의 구현체입니다. 이는 선발을 통해 엘리트를 양성하는 그랑제콜과는 정반대의 철학을 보여줍니다. 전국에 약 80개의 국립대학이 있으며.. 2025. 7. 25.
프랑스 교육제도 2편: 그랑제콜 시스템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프랑스만의 독특한 고등교육 시스템, 그랑제콜(Grande École). 2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이 시스템은 프랑스 사회의 엘리트를 양성하는 핵심 기관이자, 동시에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제도이기도 합니다. 과연 그랑제콜은 어떤 곳이며, 왜 프랑스 사회에서 이토록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걸까요? 그랑제콜의 탄생: 혁명과 엘리트주의의 만남그랑제콜의 역사는 프랑스 혁명으로프랑스혁명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789년 프랑스혁명으로 기존의 사회 질서가 무너지면서, 새로운 공화국은 능력 있는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할 필요성을 절감했습니다. 특히 군사, 공학, 행정 분야에서 전문 지식을 갖춘 엘리트가 절실했죠.1794년 설립된 에콜 폴리테크니크(École .. 2025.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