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랑스어/프랑스어 문법 정복

프랑스어 문법 정복 12화 - 인칭 목적 대명사 개념 정리 (직접·간접/ 위치 / y, en)

by Language Diary 2025. 7. 15.

인칭 목적 대명사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프랑스어를 배우면서 "이 문장에서 '그를'은 어떻게 표현하지?", "왜 어떤 때는 lui고 어떤 때는 le일까?" 하고 고민해 보신 적 있으시죠?

 

오늘은 프랑스어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헷갈려하는 인칭 목적 대명사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규칙만 제대로 이해하면 프랑스어 문장이 훨씬 자연스럽고 간결해질 거예요!

 

 

인칭 목적 대명사란 무엇인가?

인칭 목적 대명사는 문장에서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대명사입니다. 쉽게 말해 "나를", "그에게", "그것을" 같은 표현을 대신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 나는 마리를 본다 → 나는 그녀를 본다
  • 그는 피에르에게 말한다 → 그는 그에게 말한다

이렇게 반복되는 명사 대신 대명사를 사용하면 문장이 훨씬 자연스러워집니다.

 

프랑스어 인칭 목적 대명사는 크게 직접 목적 대명사간접 목적 대명사로 나뉩니다. 이 구분이 핵심 포인트예요!

 

 

📝 직접 목적 대명사 (COD - Complément d'objet direct)

직접 목적 대명사는 동사의 직접적인 대상을 나타냅니다. 한국어로는 "~을/를"에 해당하죠.

형태와 의미

인칭 대명사 의미 예문
1인칭 단수 me (m') 나를 Il me voit. (그는 나를 본다)
2인칭 단수 te (t') 너를 Je te connais. (나는 너를 안다)
3인칭 단수 남성 le (l') 그를/그것을 Elle le regarde. (그녀는 그를 본다)
3인칭 단수 여성 la (l') 그녀를/그것을 Nous la cherchons. (우리는 그녀를 찾는다)
1인칭 복수 nous 우리를 Ils nous invitent. (그들은 우리를 초대한다)
2인칭 복수 vous 너희를/당신(들)을 Je vous écoute. (나는 당신을 듣는다)
3인칭 복수 les 그들을/그것들을 Tu les aimes. (너는 그들을 사랑한다)

 

 

모음 앞에서의 축약

중요한 점: me, te, le, la는 모음이나 무음 h 앞에서 m', t', l'로 축약됩니다.

  • Je t'aime. (나는 너를 사랑한다)
  • Il m'aide. (그는 나를 도와준다)
  • Nous l'entendons. (우리는 그것을 듣는다)
  •  

실제 사용 예시

상황 1: 친구와 영화에 대해 이야기할 때

  • A: Tu connais ce film? (이 영화 알아?)
  • B: Oui, je le connais bien. (응, 잘 알아.)

상황 2: 선생님이 학생에게

  • Professeur: Est-ce que vous me comprenez? (저를 이해하시나요?)
  • Étudiant: Oui, je vous comprends. (네, 이해합니다.)

 

 

📝 간접 목적 대명사 (COI - Complément d'objet indirect)

간접 목적 대명사는 전치사 à와 함께 사용되는 동사의 목적어를 대신합니다. 한국어로는 "~에게"에 해당해요.

형태와 의미

인칭 대명사 의미  예문
1인칭 단수 me (m') 나에게 Il me parle. (그는 나에게 말한다)
2인칭 단수 te (t') 너에게 Je te téléphone. (나는 너에게 전화한다)
3인칭 단수 lui 그/그녀에게 Nous lui écrivons. (우리는 그에게 편지를 쓴다)
1인칭 복수 nous 우리에게 Elle nous répond. (그녀는 우리에게 답한다)
2인칭 복수 vous 너희에게/당신(들)에게 Il vous donne. (그는 당신에게 준다)
3인칭 복수 leur 그들에게 Tu leur expliques. (너는 그들에게 설명한다)

 

중요한 특징

  1. lui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사용됩니다.
    • Je lui parle. (나는 그에게 말한다 - 남성)
    • Je lui parle. (나는 그녀에게 말한다 - 여성)
  2. leur는 복수형에만 사용되며, 성별 구분이 없습니다.

 

간접 목적 대명사를 사용하는 주요 동사들

이 동사들은 항상 전치사 à와 함께 사용되므로 간접 목적 대명사를 써야 합니다.

  • parler à (말하다) → Je lui parle.
  • téléphoner à (전화하다) → Elle nous téléphone.
  • répondre à (답하다) → Ils vous répondent.
  • écrire à (편지를 쓰다) → Tu leur écris.
  • donner à (주다) → Il me donne.
  • demander à (묻다) → Je lui demande.
  • expliquer à (설명하다) → Elle nous explique.

 

 

📝 문장 속 위치 규칙

인칭 목적 대명사의 위치는 동사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부분을 정확히 알아두면 문장을 만들 때 훨씬 자연스러워져요!

- 현재형과 단순 시제

규칙: 대명사 + 동사

  • Je le vois. (나는 그를 본다)
  • Elle me parle. (그녀는 나에게 말한다)
  • Nous leur écrivons. (우리는 그들에게 편지를 쓴다)

 

- 복합 시제 (passé composé, plus-que-parfait 등)

규칙: 대명사 + 조동사 + 과거분사

  • Je l'ai vu. (나는 그를 봤다)
  • Elle nous a téléphoné. (그녀는 우리에게 전화했다)
  • Ils leur ont répondu. (그들은 그들에게 답했다)

중요: 직접 목적 대명사가 있을 때는 과거분사와 성·수 일치를 해야 합니다!

  • Je l'ai vue. (나는 그녀를 봤다 - vue로 일치)
  • Tu les as mangées. (너는 그것들을 먹었다 - mangées로 일치)

 

- 부정문

규칙: ne + 대명사 + 동사 + pas

  • Je ne le vois pas. (나는 그를 보지 않는다)
  • Elle ne me parle pas. (그녀는 나에게 말하지 않는다)
  • Nous ne leur avons pas écrit. (우리는 그들에게 편지를 쓰지 않았다)

 

- 명령문

긍정 명령문: 동사 + 대명사 (하이픈으로 연결)

  • Regardez-le! (그를 보세요!)
  • Écris-lui! (그에게 편지 써!)

부정 명령문: ne + 대명사 + 동사 + pas

  • Ne le regardez pas! (그를 보지 마세요!)
  • Ne lui écris pas! (그에게 편지 쓰지 마!)

 

 

📝 여러 대명사가 함께 올 때의 순서

문장에서 여러 대명사가 함께 사용될 때는 정해진 순서를 따라야 합니다. 이 순서를 외워두면 복잡한 문장도 쉽게 만들 수 있어요!

순서 규칙

me, te, se, nous, vousle, la, leslui, leuryen

 

실제 예문

  • Je te le donne. (나는 너에게 그것을 준다)
  • Elle nous les montre. (그녀는 우리에게 그것들을 보여준다)
  • Il le lui explique. (그는 그에게 그것을 설명한다)
  • Nous leur en parlons. (우리는 그들에게 그것에 대해 말한다)

 

 

📝 특수 목적 대명사 y와 en

프랑스어에는 일반적인 인칭 목적 대명사 외에도 yen이라는 특수한 대명사가 있습니다. 이들은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되지만, 일상 대화에서 매우 자주 등장해요!

y의 사용

y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1.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구 (à, dans, sur, chez 등 + 장소)
    • Tu vas à Paris? → Oui, j'y vais. (파리에 가니? 응, 거기 가.)
    • Il est dans sa chambre? → Oui, il y est. (그는 방에 있어? 응, 거기 있어.)
  2. 추상적인 개념 (à + 사물/생각)
    • Tu penses à ton avenir? → Oui, j'y pense. (미래를 생각해? 응, 생각해.)
    • Il s'intéresse à l'art? → Oui, il s'y intéresse. (그는 예술에 관심이 있어? 응, 관심 있어.)

 

en의 사용

en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1. de가 포함된 전치사구
    • Tu viens de Paris? → Oui, j'en viens. (파리에서 와? 응, 거기서 와.)
    • Il parle de ses vacances? → Oui, il en parle. (휴가에 대해 말해? 응, 그것에 대해 말해.)
  2. 수량을 나타내는 표현
    • Tu veux du pain? → Oui, j'en veux. (빵 원해? 응, 원해.)
    • Il a trois chats? → Oui, il en a trois. (고양이 3마리 있어? 응, 3마리 있어.)
  3. 부분관사와 함께 사용된 명사
    • Elle boit du café? → Oui, elle en boit. (커피 마셔? 응, 마셔.)

 

y와 en의 위치

y와 en도 다른 인칭 목적 대명사와 같은 위치 규칙을 따릅니다.

  • J'y vais. (거기 가.)
  • Je n'y vais pas. (거기 안 가.)
  • J'y suis allé. (거기 갔었어.)
  • J'en veux. (그것을 원해.)
  • Je n'en veux pas. (그것을 원하지 않아.)

 

 

📝 헷갈리기 쉬운 부분

1. 직접 vs 간접 구분법

동사 뒤에 전치사 à가 필요하면 간접, 바로 목적어가 오면 직접!

  • voir quelqu'un (누군가를 보다) → 직접 → Je le vois.
  • parler à quelqu'un (누군가에게 말하다) → 간접 → Je lui parle.

 

2. 과거분사 일치 주의

직접 목적 대명사가 앞에 올 때만 과거분사와 일치시킵니다.

  • J'ai vu Marie. → Je l'ai vue. (O)
  • J'ai parlé à Marie. → Je lui ai parlé. (O) - 간접이므로 일치 안 함

 

3. 명령문에서의 변화

긍정 명령문에서는 me → moi, te → toi로 바뀝니다.

  • Regarde-moi! (나를 봐!)
  • Écoute-toi! (너 자신을 들어봐!)

 

 

실전 연습 문제

다음 문장을 대명사를 사용해서 바꿔보세요.

  1. Je regarde la télévision.
    더보기
    → Je la regarde.
  2. Il parle à ses amis.
    더보기
    → Il leur parle.
  3. Nous achetons du pain.
    더보기
    → Nous en achetons.
  4. Elle va à l'école.
    더보기
    → Elle y va.
  5. Tu donnes le livre à Marie.
    더보기
    → Tu le lui donnes.

 

 


 

 

 

프랑스어 인칭 목적 대명사는 규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꾸준히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완벽하게 외우려고 하지 마세요! 실제 상황에서 많이 듣고 말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혀나가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프랑스어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서 대명사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관찰해 보세요.

 

Bon courage ! 💪

 

 

 

다음 편 예고

다음 편에서는 강세형 대명사(pronoms toniques)명령문(impératif)을 다룰 예정입니다. 프랑스어에서 이 두 문법은 일상 대화에서 정말 자주 사용되고 꼭 필요한 표현들이에요.

 

강세형 대명사는 문장에 강조와 명확성을 더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moi, toi, lui, elle, nous, vous, eux, elles..." 이런 표현들이 전치사 뒤에서, 강조할 때, 비교할 때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명령문은 지시, 요청, 제안, 충고 등을 표현하는 핵심 문법이에요. "Fais-le! Ne le fais pas! Allons-y!" 이런 표현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특히 대명사 위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자세히 다뤄볼게요.